카테고리 없음

아이작 뉴턴의 삶, 죽음과 업적

리나_입니다 2021. 10. 7. 21:51

 

뉴턴의 삶

 

1642년 12월 25일, 영국 링컨셔 주 울스소프에서에서 크리스마스의 축복을 한 가득 받아 태어난 한 생명체가 있습니다.  바로 위대한 과학자 아이작 뉴턴(Isaac Newton)입니다. 그가 태어난 울스소프는 작은 마을이나 훗날 이 집 앞의 길은 후세 사람들에 의해 '뉴턴 길'이라고 불리게 됩니다. 뉴턴은 아버지의 얼굴을 본 적이 없습니다. 왜냐하면, 그의 아버지는 뉴턴이 태어나기도 3개월 전에 세상을 떠났기 때문입니다. 뉴턴의 어머니는 혼자서 아이를 낳고 길러야 했습니다. 그리고 뉴턴의 집안은 대대로 농사를 짓는 그리 풍족하지는 못한 집안에다가 뉴턴이 태어난 이 시기 영국은 폭군으로 유명한 찰스 1세가 직위 하던 때로 당시 백성들은  무거운 세금액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그리고 참지 못했던 이 백성들이 국왕에게 대항하는 사건이 있는데 그것이 바로 그 유명한 '청교도 혁명입니다. 그러나 추후 나라도 안정을 찾아가고 뉴턴의 어머니도 재혼을 하면서 뉴턴은 보다 안정된 환경 속에서 학업을 시작할 수 있었습니다. 그는 1655년 13살의 나이로 킹스 학교에 입학해 대학에 입학할 나이가 되었을 즈음에는 케임브리지 대학 트리니티 컬리지에 입학했습니다. 그것이 1661년의 일이며 그가 대학을 졸업하던 1665년에는 '만유인력의 법칙'을 발견했습니다. 그리고 수학의 미적분학도 완성했습니다. 

 

 

뉴턴의 죽음

 

아이작 뉴턴은 1727년 3월 20일, 런던 교외의 켄징턴에서 85세의 나이로 눈을 감았습니다. 그리고 지금 그의 시체는 1727년 4월 4일부터 계속 영국 런던 웨스터 민스터 사원에 위치한 웨스트민스터 성당에 묻혀있습니다. 그는 숨을 거둘 때까지 독신으로 지냈으며 마지막까지도 자연 과학 연구에 전념했습니다. 그리고 그가 자연 과학과 관련해서 남긴 유명한 말도 있습니다. 바로 '자연은 일정한 법칙에 따라 운동하는 복잡하고 거대한 기계'인데요. 이 말 한마디가 추후 18세기 계몽사상의 발전에 커다란 영향을 줍니다. 그가 타계한 1727년 해에도 그는 왕립 협회에 힘썼습니다. 3월 4일 왕립 협회에서 진행한 회의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온 뉴턴은 갑자기 심한 통증을 느끼며 정신을 잃었습니다. 의사가 급하기 손을 썼음에도 불구하고 뉴턴의 상태는 좋아질 기세가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의 병세는 점차 악화만 되어 결국 16일 뒤, 뉴턴은 숨을 거두었습니다. 사람들은 그를 근대 과학의 아버지라고 부릅니다. 그는 자연 과학 외에도 물리학, 수학과 천문학 등 넓은 분야의 과학에 몰두했으며 현대 과학자들이 연구를 계속할 수 있도록 기초를 만들었습니다. 그중 가장 유명하고 영향력 있는 것을 꼽자면 고전역학과 만유인력의 바탕을 제시한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일 것입니다.

 

 

뉴턴의 업적

 

아이작 뉴턴은 만유인력의 법칙을 발견하고 수학의 미적분학을 완성했습니다. 이는 모두 그가 23살의 나이였던 해에 이루어진 일입니다. 그리고 일 년 뒤, 뉴턴은 세계 최상위 명문대학교인 케임브리지 대학 소속의 수학과 교수로 임명됩니다. 뉴턴은 교수로 재직 중 <유속 법과 무한급수>를 펴내고 왕립 협회의 회원이 됩니다. 그리고 그는 또 '빛과 색깔에 대한 새로운 이론'을 펴냅니다. 그의 업적은 여기서 끝나지 않습니다. 그는 1679년 케플러의 제1, 제2법칙을 증명해내고 역제곱칙의 법칙까지 이끌어 냅니다. 그리고 1686년에는 자연 철학의 수학적 원리 <프린키피아> 1부를 왕립 학회에 제출하고 2년 뒤인 1687년에는 2부, 3부를 제출합니다. 그가 47살이 되었던 해에는 의회 의원으로도 선출됩니다. 그는 달의 운동에 대해서도 연구를 시작했으며 5년 뒤에는 조폐국장이 되기도 합니다. 그는 조폐국장이 되고 난 일 년 뒤에 육분의라는 측량 기계를 만들었습니다. 1701년에는 재직 중이었던 교수와 연구원을 그만두고 케임브리지 대학 선출 국회의원이 되면서 2년 뒤에는 왕립 협회 회장도 겸직하며 바쁜 인생을 살아갑니다. 62살의 나이에는 <광학>을 편찬하고 그의 수많은 업적을 인정받아 1705년에는 앤 여왕으로부터 기사 작위를 수여받습니다. 그리고 그는 대수학과 관련된 책을 편찬하며 1710년에는 마지막으로 그리니치 천문대의 감찰위원장이 됩니다.